안녕하세요. 일본에서 IT프리랜서를 하고 있는 외노자1입니다.
올해는 프리랜서 3년 차이자 드디어 비자를 갱신해야 하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프리랜서 활동하면서 유지하고 있었던 비자는 기술비자(기술・인문지식・국제업무)로
사실 회사원 시절에 받은 비자였고, 프리랜서로 전향하면서도 계속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회사원 시절에는 회사라는 스폰서가 있었기 때문에 크게 비자에 대해 걱정이 하나도 없었습니다만
프리랜서를 하면서 '앞으로 비자는 어떻게 하지'하면서 꽤 걱정을 많이 했습니다.
뭐든 해서 비자 불안감을 덜어보자
프리랜서를 하는 와중에 작년에 제가 처음에 했던 시도는
고도인재비자였습니다.
어쩌다 보니 고도인재 포인트가 80 정도는 되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일본행정서사를 통해서 문의했습니다.
처음에는 간단히 현재 저의 상태와 받을 수 있을 건지에 대해 물어보기도 하고, 견적을 물었습니다.
견적에는 제가 내야 할 금액과 필요한 서류가 적혀 있었습니다.
여기서 이용요금은 소비세 미포함 기본요금 10만 엔에 개인사업자이므로 3만 엔 추가된 가격이었습니다. (23년 당시)
솔직히 조금 비싸지만 불안한 마음을 없애고자 진행하려고 했습니다만,
한 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견적에 적힌 필요한 서류에는 年収見込証明書(연수예정증명서)가 있는데,
이용하고 있는 에이전트에서는 발행을 해 줄 수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자세히는 구체적으로 모르겠지만, 짐작으로는 제가 앞으로 예정되어 있는 계약이 1년이든 1달이든
저 서류자체를 발행해 주는 대상이 회사 내 소속되어 있는 정사원용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3년에 진행했던 비자 해결은 그렇게 실패했고, 2024년까지 기다렸습니다.
일단 필요한 서류 리스트업
일본에서 회사원으로 비자갱신하는 방법이나 자신의 소재지에 따라
굳이 시나가와에 가지 않고도 비자갱신을 하는 방법 등이 꽤 많이 공유되어 있습니다. (아래처럼 도쿄서부에도 있고 치바 쪽에도 하나 생겨서 특정 23구에 대응한다고 하네요.)
[ 일본생활 ] 재류카드 갱신하기
일본에 온지 벌써 3년이 지났네요. 재류카드를 갱신할 시간이 됐습니다. 재류카드를 갱신하는데 필요한 서류입니다 + 내가 준비해야되는 서류 1. 재류카드 在留カード 2. 여권 パスポート 3. 주민
kwon-eb.tistory.com
하지만 프리랜서 그딴 외노자 중에서도 주인도 없는 노비는 많이 없어서 그런지
영어, 일본어, 한글로 검색해도 정리되어 있는 내용이 거의 없고, 스스로 모으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이었습니다.
영어로 검색해도 안 나옵니다.
일본어로 검색하면 취로변경서를 내서 갱신할 때 편하게 하라고 쓰여있고, 자세한 건 행정서사에 연락 주라고 합니다.
한글로 검색하면 프리랜서를 해도 기술비자를 갱신할 수 있다는 정보와 필요한 서류에 대해 조금은 유추할 수 있는 수준이었기에 사실 처음에 막막했습니다.
최종적으로 에이전트에게 물어보고, 구글링 해서 저는 다음의 서류를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
- 在留期間更新許可申請書 申請人用 (갱신신청서-본인작성)
- 在留期間更新許可申請書 所属機関用1 N, 2 N (소속기관용-에이전트작성)
- 住民税の課税(又は非課税)証明書及び納税証明書(동네 구약소/시약소에서 발급)
- 個人事業の開業・廃業など届出書の写し(개업신고서 사본)
- 確定申告書の写し 過去1年分(작년도 확정신고서, 1년어치)
- 注文書3年分(주문서 3년분)
- 前の会社の発行した源泉徴収票・退職証明書의 사본(전 회사의 원천징수표랑 퇴직증명서)
- 四季報(에이전트회사에 대한 정보가 담긴 서류)
좀 자세히 이야기하자면
1. 갱신신청서 본인작성용은 구글링 해서 작성해 주시면 됩니다.
2. 갱신신청서 소속기관용은 현재 나를 케어해 주는 에이전트에 문의해서 작성해 달라고 하면 해줍니다. 이때 8. 사계보(에이전트회사에 대한 정보가 담긴 서류)를 같이 달라고 하면 됩니다. 처음에는 결산서랑 등기 달라고 했는데, 그거는 못준다고 해서 사계보 준다고 해서 그걸로 퉁친 겁니다.
3. 동네 구약소/시약소에 가서 돈 내고 납세랑 과세 달라고 하고 2장 다 받아서 준비했습니다.
4. 개업신고도 안 하고 프리랜서는 못하겠죠? 제 처음 글에도 개업신고 하는 방법이 나와 있는데, 제출 당시 控え(보관용 서류)를 복사해서 준비해 주시면 됩니다.
프리랜서 도전 시작.
저는 일본에 와서 회사원을 하다 여러가지 하고 싶은 일이 많아서 자유로운 시간을 갖을 수 있는 자신을 만들고자 프리랜서에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가 준비하는 과정을 알려
japan-freelance.tistory.com
5. 확정신고 안 하면 사실 3번 서류도 준비가 되지 않아요. 확정신고하고 가지고 있는 控え(보관용 서류)를 복사해서 제출해 주시면 돼요. 저는 소득세청색결산서의 복사본은 내지 않았어요. 굳이 필요 없는 거 같아요.
6. 지금까지 제가 했던 계약 주문서를 전부 복사해서 준비했습니다. 에이전트 측에서 보낸 메일 같은 곳에 전부 있을 테니 다 다운로드하셔서 준비해 주시면 됩니다.
7. 전에 있던 회사에서 받은 원천징수표와 퇴직증명서를 카피본입니다.
과연 나는 비자의 재류기간은 무엇이 나올 것인가
이렇게 준비를 하고 제출했고,
결과는 아주 빠르고 편안하게 2주 만에 갱신허가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엽서를 받자마자 과연 이번 비자가 몇 년이 나왔을지 하고 너무 궁금했기에 급하게 일 중단하고 바로 받으러 갔습니다.
5년이 떴으면 하는 욕심이 가득했으나, 그래도 안전한 3년 비자가 나왔습니다.
주위에서 1년 비자만 나온다는 소리가 있어서 조금 걱정했지만 다행히 3년이 나와서
당당히 프리랜서의 일본생활이 사실 그렇게만은 불안한 포지션이 아님을 보여주는
하나의 케이스가 되어 기뻤습니다.
일본에서 프리랜서를 해볼까 하는 망설이시는 분이나 각오를 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외노자1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이제는 조금 사소한 내용이나마 조금은 개발자로서 하는 고민들이나 일본생활에서 도움이 될 만한 글을
자주 쓰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일본프리랜서 > 2024'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일본프리랜서라면 반드시 해야할 확정신고 소득세, 소비세 (1) | 2025.03.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