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master main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에서 Master와 Main의 차이 안녕하세요 일본 IT 프리랜서 외노자입니다. 소스 관리할 때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 git을 선호하여 사용하는데요. 관리하는 git저장소(이하 레파지토리)에서 브런치를 만들어서 각자 주어진 일을 알아서 자~알 커밋하고, 푸쉬하는게 기본적인 IT업자들의 일입니다. 이 때 가끔씩 혼동하기 쉬운 단어가 등장하는데요. master/origin , main/origin 등등 여기서 master와 main의 차이를 아시나요? 예전부터 git을 접했던 분들, 정확히는 2020년 이전부터 일하신 분들이라면 master와 친할거에요. 지금에 와서 레파지토리하나 만들면 main으로 만들어 질거에요. 그 말은 즉슨 기본 브런치 이름 초기값 정책이 master → main 으로 바뀐 것이에요. 이러한 배경에는 2020년 5월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