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본프리랜서/2022

git에서 Master와 Main의 차이

반응형

안녕하세요

 

일본 IT 프리랜서 외노자입니다.

 

소스 관리할 때 대부분의 프로젝트에서 git을 선호하여 사용하는데요.

 

관리하는 git저장소(이하 레파지토리)에서 브런치를 만들어서 

 

각자 주어진 일을 알아서 자~알 커밋하고, 푸쉬하는게

 

기본적인 IT업자들의 일입니다.

 

이 때 가끔씩 혼동하기 쉬운 단어가 등장하는데요.

 

master/origin , main/origin  등등

 

여기서 master와 main의 차이를 아시나요?

 

예전부터 git을 접했던 분들,

 

정확히는 2020년 이전부터 일하신 분들이라면

 

master와 친할거에요. 

 

지금에 와서 레파지토리하나 만들면 main으로 만들어 질거에요.

 

그 말은 즉슨

 

기본 브런치 이름 초기값 정책이 

master → main

 

으로 바뀐 것이에요.

 

이러한 배경에는 

 

2020년 5월 25일 미국 미네소타주에 발생했던 조지플로이드씨가 흑인이라는 이유만으로 

 

경찰에게 강압체포 및 질식사가 일어난 큰 사건이 있는데요.

 

그 사건의 파장으로 

 

IT업계에서는 master/slave , blacklist/whitelist 와 같은 구시대적이고 민감한 단어를 

 

배제하기 위해 노력해서 이뤄진 조치라고 합니다. 

 

git에서의 발표 내용의 관한  주소는 아래에 있습니다.

https://github.blog/changelog/2020-10-01-the-default-branch-for-newly-created-repositories-is-now-main/

 

The default branch for newly-created repositories is now main | GitHub Changelog

The default branch for newly-created repositories is now main

github.blog

 

 

이상 일본IT프리랜서 외노자1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